티스토리 뷰
목차
초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‘기초연금’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죠.
오늘은 2025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과 주요 변경사항, 신청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.
🔍 2025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은?
2025년 기준 노인 단독가구 월 소득인정액이 228만 원 이하인 경우 기초연금 수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이는 2024년보다 15만 원 인상된 수치로, 최근 노인의 근로소득 및 공적연금 수입 증가를 반영한 것입니다.
📌 소득인정액이란?
소득인정액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모두 포함합니다:
- 근로소득
- 공적연금 소득
- 일반재산
- 금융재산
- 부채 등
이러한 요소들을 종합하여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말합니다.
단순히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까지 반영되기 때문에 계산이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.
👉 어려우신 분들은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시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실 수 있어요!
📝 신청 방법 및 대상자
기초연금은 직접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신청 가능한 곳:
- 전국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- 국민연금공단 지사
- 복지부 포털 ‘복지로’
신청 가능 시기:
-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
예: 1960년 3월생 → 2월부터 신청 가능
거동이 불편한 분들:
국민연금공단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신청서 접수 도와드립니다.
💰 기초연금 지급 금액은?
- 2014년 도입 당시: 월 20만 원
- 2021년: 월 30만 원
- 2025년: 최대 34만 4천 원 (단독 가구 기준)
단, 소득과 재산에 따라 감액 또는 차등지급 될 수 있습니다.
또한, 국민연금 수령액, 근로/사업소득, 부부 수급 여부 등도 영향을 미칩니다.
🧩 추가 개편 사항
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도 이뤄질 예정입니다:
- 수급 희망 이력 관리제도 개선: 탈락자도 추후 수급 가능성 자동 안내
-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강화: 사실상 이혼 인정 통해 단독 수급 가능
🎯 꼭 알아두세요!
기초연금은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는 제도입니다.
꼭 대상자 여부를 확인해 보시고,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들께도 널리 알려주세요!